본문 바로가기
사건·사고

[분수대] 우면산

by 아자여 2011. 8. 3.
반응형

[분수대] 우면산
고려의 스님 각훈(覺訓)이 1215년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을 지었다. 이 책에 따르면 백제 15대 침류왕 원년(384년), 인도의 승려 마라난타가 이 땅에 당도했다. 불교를 설파하기 위해서였다. 중국을 거쳐 바다 건너 백제까지 오는 동안 물과 음식이 맞지 않아 병을 얻었다. 이곳의 약수를 마시고 나았다고 한다. 이에 대성초당(大聖草堂)을 세웠는데 이것이 대성사(大聖寺)의 시초였다 한다. 서울 서초동 우면산(牛眠山) 기슭에 자리잡은 이 절은 6·25때 소실된 것을 1954년 다시 지었다.

 높이 293m인 우면산. 소가 누워서 졸고 있는 형상이라 하여 이런 이름을 얻었다. 본디 관악산의 한 줄기였다. 그런데 과천이 개발되면서 맥이 끊겼다. 남태령 고개에 대로가 뻥 뚫리면서 따로 떨어져 나온 것이다. 외국인들은 서울의 매력 중 하나로 가까운 곳에 오르기 좋은 산이 많다는 걸 꼽는다. 서초·방배·우면·양재동과 맞닿아 있는 이 산이 대표적이다. 구릉이 완만해 산책하기 그만이다. 여기에서 27일 오전 집중 폭우로 산사태가 일어나 18명이나 목숨을 잃었다.

 산사태로 가장 악명 높은 나라는 중미의 베네수엘라다. 1999년 12월 북부 바가스주에 연간 강수량의 두 배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다. 해발 2000m의 시에라산은 본래 지반이 약했다. 사흘째 되던 날 엄청난 산사태가 발생했다. 쓸려가는 속도가 시속 50㎞에 달했다고 한다. 기슭에 가득했던 빈민촌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사망·실종자가 3만 명을 넘었다. 그로부터 2년여 뒤인 2002년 2월 이 나라는 비슷한 재앙을 또 당했다. 이때도 2만5000여 명이 희생됐다. 인간의 힘을 비웃는 천재지변이었다. 그래도 인과(因果)의 법칙은 동원됐다. 환경과 안전을 도외시한 도시 난개발이 집중타를 맞았다.

 우면산 사고도 그런 것일까. 허리가 잘린 것에 앙심을 품고 있던 산신령이 노한 것일까. 과천과 서초동을 잇는다며 땅속을 마구 헤집으며 건설한 터널이 지신(地神)의 심기를 건드린 것일까. 아니면 2004년 7월 개장한 자연생태공원이 화근(禍根)이 됐을까. 도시에서 자연을 배우고 생태계의 중요성을 알릴 목적으로 조성된 곳이다. 산은 그 자체로 자연인데 거기에 삽질을 가해 인공공원을 만들었으니 모순은 모순이다. 여기에 두꺼비 보호구역도 있다. 원주민을 짓밟은 뒤 대외적으로 치장하기 위해 온정을 베푸는 미국의 인디언보호구역이 생각난다.

반응형